IT 지식 공유

리눅스 서버의 종류

에단신 2020. 7. 1. 00:43

 

지난 번에 윈도우와 #리눅스 에 대해 정리했었는데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리눅스의 배포판은

레드햇,데비안, 안드로이드, 슬랙웨어, 젠투, 마제야

등등..의 계열이 있네요.

 

하나씩 어떤 배포판이 있는지 살펴볼게요.

 

 

레드햇 계열

[출처] 나무위키 리눅스

 

레드햇 리눅스와 그 커뮤니티 버전인 페도라에서

파생된 배포판이라고 합니다.

서버용으로 대부분 사용됩니다.

 

Red Hat Emterprise Linux.

보통 줄여서 RHEL이라고 합니다.

 

RHEL은 한국의 서버관리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배포판으로

수많은 사용자들의 피드백 덕분에

데이터베이스와 가이드라인이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CentOS, 페도라 등이 RHEL에서 파생되었습니다.

 

CentOS는

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의 약자이고

페도라가 선구적인 기술을 너무 도입하다 못해

RHEL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되어

RHEL을 완벽에 가깝게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배포판이라 합니다.

 

CentOS는 리눅스 서버 시작의 1인자인 RHEL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네이버나 카카오 뿐만 아니라 국내 많은 호스팅 업체들이

CentOS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충분한 자체 유지보수가 가능하다면 이만한 운영체제가 없다고 하네요..

 

반대로 CentOS는 사후 지원이 없기 때문에

리눅스 전문가를 고용할 수 없다면 RHEL을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Amazon Web Service를 운영하는

아마존 닷컴의 리눅스 배포판 Amazon Linux는

CentOS를 기반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페도라는

매우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이며, 레드햇이 후원합니다.

레드햇에서는 페도라는 바탕으로 RHEL을 만든다고 하네요.

우분투처럼 한국 사용자 포럼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아

일반 사용자가 처음 접하기에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

 

데비안 계열

[출처] 나무위키 리눅스

 

주로 개인용으로 사용되고, 일반 사용자를 주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친화적인 배포판이 많습니다.

 

데비안(debian)은

자발적인 커뮤니티에서 만드는 배포판이라

업데이트가 늦고 충분한 사후지원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서버시장에서 오랫동안 RHEL에 밀리고

개인 사용자 서버용으로는 인기가 많은 편이나

우분투에게도 밀리고 있다고 하네요..

 

우분투(Ubuntu)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다른 배포판에 비해 설치와 유지보수 절차가 편리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법과 인터페이스가 특징이며

현존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넓은 사용층을 가진 배포판이라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계열

[출처] 나무위키 리눅스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 계열 배포판으로

기존 리눅스와 구조가 크게 다르다.

 

안드로이드(Android)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구글에서 제작한 스마트폰과 같은 플랫폼의 모바일 운영 체제와

미들웨어 및 중용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소프트웨어 집합입니다.

 

2019년 현재 안드로이드는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오픈 소스 플랫폼이며,

세계 최다 사용자를 보유한 운영체제입니다.

 

슬랙웨어 계열

[출처] 나무위키 리눅스

 

현재까지 살아있는 가장 오래된 배포판으로

1993년부터 배포를 시작했습니다.

 

시스템의 권한을 최대한 사용자에게 이양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유지보수를 위한 노력이 오롯이 사용자에게 전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openSUSE는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입니다.

openSUSE 프로젝트에서 개발하고 있다.

긴 역사, 높은 안정성, 변화와 안정 사이의 균형 등의 특징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특히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엔터프라이즈용 서버나 데스크탑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다만 미국이나 국내에서 누리는 인기가 상대적으로 약하여

그 인기와 영향력을 체감하기는 어려운 편입니다.

 

지금까지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들이 있지만

여기까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서버호스팅 업체인 #통큰아이 에서는

국내 리눅스 운영자들이 선호하는 CentOS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개발된 리눅스 Ubuntu를

지원합니다.

 

 

#서버호스팅서비스를 고려하고 계신분들은

#통큰아이홈페이지 방문하셔서

자세한 사양 및 트래픽 정보 확인해보시고

내 사이트에 적절한 #서버호스팅서비스를 선택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728x90